본문 바로가기
*경제 답변*

D+2예수금 출금시점과 마이너스 주의사항

by 건강 지식왕 곰돌이 정 2025. 4. 9.
반응형

D+2 예수금, 왜 내 돈인데 바로 못 쓰는 걸까?

주식을 팔았는데도 출금이 안 되는 상황, 답답한 적 있으시죠? 그 이유는 바로 D+2 예수금 때문입니다. 주식 거래의 정산 주기와 D+2 개념을 알면, 불필요한 당황이나 실수를 줄일 수 있어요.


아직도 ‘예수금’이 뭔지 헷갈린다면

“분명 돈이 있는데 왜 인출이 안 되죠?”
“D+2? D+1? 이건 무슨 게임 레벨인가요?”

이런 생각 한 번쯤 하셨을 거예요.


저도 처음에는 주식 거래 후 예수금이 바로 줄어들지 않거나 출금이 안 되는 게 이상하게 느껴졌거든요.

 

특히 D+2 예수금 출금 불가D+2 예수금 마이너스 상태를 경험하면 더더욱 혼란스럽죠. 하지만 알고 보면 다 ‘주식 거래 결제 방식’에 따른 자연스러운 과정이에요.

 

출처 : 유튜브 아들아, 이거 어떻게해?

아래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유튜브 영상으로 연결 됩니다.

 

d+2 예수금 설명 영상
d+2 예수금 설명 영상


D+2 예수금 뜻과 원리, 이렇게 이해해요

D+2는 ‘정산까지 이틀이 걸린다’는 뜻

주식 시장은 오늘 거래한 금액을 당일(T+0)에 결제하지 않고, 영업일 기준으로 이틀 뒤(T+2)에 정산합니다.

예를 들어,

  • 월요일에 주식을 팔면 → 수요일에 예수금이 출금 가능
  • 목요일에 주식을 팔면 → 다음 주 월요일에 인출 가능

이때의 'D'는 거래일, '+2'는 결제까지의 영업일 수를 뜻해요.
그래서 우리가 보는 D+2 예수금은 **‘아직 정산 전인 돈’**인 셈이죠.

반응형

예수금이란?

예수금은 주식 계좌에 들어 있는 투자 가능한 현금이에요.


하지만 예수금이 있다고 해서 바로 출금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그 안에는 D+0, D+1, D+2로 나뉜 금액들이 섞여 있기 때문이에요.


D+2 예수금 출금, 가능한 경우와 불가능한 경우

오늘 산 주식은 당일 출금 불가

예를 들어, 예수금이 200만 원이고 오늘 30만 원짜리 주식을 매수했다면?

  • D+0 예수금: 200만 원
  • D+1 예수금: 200만 원
  • D+2 예수금: 170만 원

이렇게 D+2 기준으로 계산되어 증거금이 잡히고, 170만 원까지만 실제 인출이 가능한 구조가 됩니다.


이때 D+1이나 D+0의 금액을 그대로 인출하면 ‘미수금’ 상태가 되고, 최악의 경우 미수동결계좌가 되어 한 달간 거래 제한이 생길 수 있어요.

주식을 팔았어도 바로 출금이 안 되는 이유

주식을 판매했더라도 정산이 D+2일에 되기 전까지는 그 금액이 입금되지 않아요.
즉, 판매한 금액이 예수금에 표시되더라도, 실제로는 이틀 뒤에야 출금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D+2 예수금, 이렇게 보면 쉽습니다

반응형

상황별 예시로 한눈에 이해하기

📌 [구매한 경우]

  • 월요일: 200만 원 예수금 → 30만 원 주식 매수
  • D+2 예수금: 170만 원
  • 실제 인출 가능 금액: 170만 원

📌 [판매한 경우]

  • 금요일: 10만 원 어치 주식 판매
  • 금요일 D+2 예수금: 10만 원 표시되나 실제 인출 가능 시점은 다음 주 화요일

D+2 예수금 제대로 알면 이런 점이 좋아요

  • 출금 날짜를 헷갈리지 않아 자금 운용이 편해져요.
  • 미수금/마이너스 상태를 방지해 불필요한 페널티를 피할 수 있어요.
  • 특히 주식 거래 초보자라면 ‘돈이 잠겨있는 이유’를 확실히 이해하게 됩니다.

주식 거래의 시작은 ‘예수금 흐름’ 파악부터

예수금이 헷갈린다면, 지금부터라도 꼭 D+0~D+2 흐름을 체크하는 습관을 들여보세요.
특히 출금 계획이 있다면 최소 2영업일 전에 매도를 해야 원하는 날 자금 인출이 가능합니다.

 

오늘 배운 D+2 개념만 잘 알아둬도, 출금 지연이나 미수 사고를 줄이고 주식 투자 흐름을 안정적으로 가져갈 수 있어요.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