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답변*

레노버 태블릿 한글 키보드 설정과 언어 전환 팁 총정리

by 경제 지식왕 곰돌이 정 2025. 3. 30.
반응형

레노버 태블릿 한글화 방법과 키보드 설정 직접 해본 과정
레노버 태블릿 한글화 방법과 키보드 설정 직접 해본 과정

레노버 태블릿 한글화는 언어 설정부터 키보드까지 제대로 세팅해야 완전히 사용할 수 있으며, 중국 내수 모델은 특히 MoreLocale2 설정이 중요합니다.


중국어로 된 태블릿, 당황했던 첫 날

지인의 추천으로 중고로 구입한 레노버 태블릿.
첫 전원을 켜자마자 맞이한 건 온통 중국어로 뒤덮인 화면이었습니다.

설정을 찾아 들어가려 해도 뭔가 눌러야 할 버튼조차 낯설었습니다.
화면은 예쁜데, 뭘 누르라는 건지 한참을 멍하니 쳐다보기만 했죠.

그 순간 가장 먼저 떠오른 생각은 "내가 이걸 제대로 쓸 수 있을까?"였습니다.


언어 설정만으로는 부족했던 이유

반응형

처음엔 단순히 언어만 바꾸면 될 줄 알았습니다.
그래서 설정(Settings) → System → Languages에 진입했죠.

그런데 ‘한국어’가 없습니다.
보통의 글로벌 제품은 언어 추가 메뉴에 기본적으로 한국어가 있어야 정상인데,
이 태블릿은 ZUI OS라는 이름의 중국 커스텀 운영체제가 깔려 있었습니다.

결국 언어 변경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문제였던 거죠.


첫 만남 온통 중국어
첫 만남 온통 중국어

한글화가 꼭 필요한 이유를 깨달은 순간

유튜브도 보고 싶고, 넷플릭스도 깔고 싶었는데
구글 플레이조차 설치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중국 내수용 모델의 한계는 분명했습니다.
한글 키보드는커녕, 앱 이름부터 메뉴까지 전부 중국어 또는 영어였습니다.

‘한글화’는 단순히 언어만 바꾸는 게 아니라,
이 기기를 ‘내 환경에 맞게’ 제대로 설정하는 작업이란 걸 이때 실감했습니다.

 

Y700 내수롬 레노버 태블릿 반글화 하는 방법구글 스토어, 한글 키보드 설치 설정하기
Y700 내수롬 레노버 태블릿 반글화 하는 방법구글 스토어, 한글 키보드 설치 설정하기


ADB와 MoreLocale2로 길이 열리다

반응형

검색 끝에 MoreLocale2 앱이라는 해답을 찾았습니다.
루팅 없이도 시스템 언어를 바꿔주는 앱이었고, PC와 연결만 잘 되면 비교적 쉽게 설정이 가능했습니다.

제가 했던 방법을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준비한 것들

  • USB 케이블
  • 노트북
  • ADB 툴 다운로드

설정 순서

  1. 구글플레이에서 MoreLocale2 설치
  2. 태블릿에서 개발자 모드 활성화
    • 설정 → 디바이스 정보 → 빌드번호 7번 연속 클릭
  3. 개발자 옵션에서 USB 디버깅 ON
  4. PC와 태블릿 USB 연결
  5. PC에서 ADB 명령어 실행
sql
복사편집
adb shell pm grant jp.co.c_lis.ccl.morelocale android.permission.CHANGE_CONFIGURATION

명령어를 실행하니 마법처럼 한국어 메뉴가 활성화됐습니다.


단순 언어 설정의 한계
단순 언어 설정의 한계

한글 키보드도 따로 설치해야 완성

언어는 바꿨지만 여전히 키보드가 중국어.
타이핑할 때마다 답답했습니다.

그래서 구글플레이에서 Gboard를 설치했어요.
설정에서 기본 키보드로 Gboard를 선택하고, 언어에서 ‘한국어’를 추가했습니다.

이후로는 타이핑도 편해지고,
카카오톡이나 네이버 검색도 이제야 제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커스텀롬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선택

반응형

설정 도중에 알게 된 정보 하나.
ZUI OS의 한계를 극복하려면 글로벌롬이나 커스텀롬을 깔아야 한다는 말이 많았죠.

하지만 직접 해보진 않았습니다.

설치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보증 무효, 시스템 오류(벽돌), 앱 호환성 문제 등 위험이 너무 컸기 때문입니다.

단지 한글화가 목적이라면, 굳이 커스텀롬까지 가지 않아도 충분하다는 걸 경험으로 알게 됐습니다.


완벽한 마무리를 위한 키보드 설정
완벽한 마무리를 위한 키보드 설정

꼭 확인해야 할 설정들

한글화 후에도 몇 가지 세팅은 추가로 손봐야 했습니다.
실제로 놓치기 쉬운 부분이라 따로 정리해봤습니다.

  • 시간대 설정: 대한민국(서울)
  • 날짜/시간 형식: 24시간 또는 AM/PM
  • 지역 설정: 대한민국
  • 구글 계정 로그인: 앱 설치 및 동기화 활성화

이 설정까지 완료해야 제대로 된 레노버 태블릿 한글화가 마무리됩니다.


한글화 후 이렇게 활용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저는 이 태블릿을 주로 지하철 안에서 유튜브 강의를 들을 때 사용합니다.
화면 크기도 적당하고, 배터리도 오래 가서 만족스럽습니다.

아이를 위한 학습용 앱도 설치했고, 영상 스트리밍도 무리 없이 돌아갑니다.

처음 설정이 조금 번거롭긴 했지만
딱 한 번만 해두면, 그 이후로는 너무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커스텀롬 정말 필요할까?
커스텀롬 정말 필요할까?

레노버 태블릿 한글화 많이 하는 질문들

레노버 태블릿에서 한국어가 안 보여요.
→ MoreLocale2와 ADB 명령어로 설정 가능합니다.

중국 내수용도 구글 플레이 사용 가능한가요?
→ G앱 설치 후, 계정 로그인하면 사용 가능합니다.

ZUI OS는 한글 지원 안 되나요?
→ 기본적으로 미지원이 많아 앱으로 우회 설정해야 합니다.

루팅 없이도 언어 변경 가능한가요?
→ ADB 권한만 부여하면 루팅 없이도 가능합니다.

한글 키보드가 자동으로 안 돼요.
→ Gboard 등 별도 설치 후 직접 설정해야 합니다.


한 번 세팅하면 완전히 달라지는 사용 경험

한글화된 레노버 태블릿은 사용의 질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더 이상 낯선 언어에 눈치 보지 않고, 내가 원하는 대로 앱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복잡해 보였지만, 해결책은 차근차근 따라 하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태블릿을 진짜 ‘내 것’으로 만들고 싶다면 꼭 한 번 시도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